정부는 신중년(50~60대)이 이전 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경력이 풍부함을 고려해 지역 현장에 시급한 서비스를 일자리와 연계해 소득창출과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고자 신중년 일자리사업을 확대추진하기로 했다.
신중년의 경력을 활용해 지역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을 신설하고, 19년 2,500명, 예산 80억 규모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고령화추세 등에 따른 다양한 신중년 일자리를 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지역단위 플랫폼으로 100억원 증액하여 일자리사업을 지원한다.
사회적 수요가 있고 기여도가 높은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도 내년 2만명, 741억 수준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또한 유통·행정 등 전문분야 경력자를 활용해 전통시장 및 상점가의 고령 상인의 유통환경 대응력 향상 및 행정처리를 지원하며, 대기업 퇴직인력 등을 청년 창업기업에 파견해 기술·경험을 전수하는 창업기업 서포터즈도 올해 100명에서 내년 200명, 예산 25억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신중년의 귀농·귀어·귀산 지원도 확대한다.
또한, 신중년 직업훈련교사 양성과정을 신설하고, 폴리텍 신중년 특화캠퍼스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민간일자리 지원으로는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을 내년에는 5,000명, 274억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며, 금융권 신중년 퇴직인력을 서민금융 종합상담역, 상호금융 컨설팅역으로 채용하고, 전직지원을 강화하고 특화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외에도 민관협업 사회적경제기업 재취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정년 이후 계속고용을 지원할 예정이다.